
《암살》(2015)은 일제강점기 조선을 배경으로 한 역사 액션 영화입니다. 감독 최동훈, 주연 전지현·이정재·하정우·조진웅·이경영 등이 출연하며, 무장 독립운동의 세계를 치밀한 서사와 압도적인 연출로 그려냈습니다. 실존 사건에서 모티브를 얻었지만 픽션 구조 안에서도 인물의 고뇌와 시대의 질감을 세밀하게 담아내며 역사와 영화의 경계를 허문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총 관객 1,270만 명을 동원하며 2015년 국내 흥행 1위를 기록한 《암살》은 오락성과 역사성을 모두 갖춘 작품으로, 독립운동의 의미를 대중적으로 각인시킨 대표적인 한국 영화로 남았습니다.
1. 줄거리 요약 — 1933년 조선, 총성 속의 선택
1933년, 일제강점기 조선과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본군 장성 카와구치와 친일파 강인국을 제거하기 위한 암살 작전을 비밀리에 계획합니다. 작전의 핵심 인물은 저격수 안옥윤(전지현). 그녀는 폭탄 전문가 황덕삼(조진웅), 위장과 변장에 능한 속사포(최덕문)와 함께 ‘암살조’를 결성합니다.
하지만 임시정부 요원 염석진(이정재)은 일본군과 내통하는 밀정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가 드러날까 두려워 암살조를 제거할 계획을 세우고, 살인 청부업자 하와이 피스톨(하정우)을 고용합니다. 그러나 피스톨은 점차 독립운동가들의 신념에 감화되어 예상치 못한 선택을 하게 됩니다.
한편 안옥윤은 작전 준비 중, 자신의 가족이 일본군과 친일파에 의해 살해되었으며 잃어버린 쌍둥이 자매가 살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복수심과 사명이 교차하며 그녀의 임무는 단순한 작전을 넘어 조국을 되찾기 위한 개인적 투쟁으로 바뀝니다.
1933년 5월 26일, 경성. 총성이 울리는 순간, 독립군·밀정·친일파·청부업자·일본군의 운명이 엇갈리며 모두의 신념이 시험대에 오릅니다. 하와이 피스톨은 결국 독립군의 뜻에 동참하고, 염석진은 과거의 배신으로 인해 법정에 서게 됩니다.
영화의 마지막은 1949년 광복 이후로 넘어갑니다. 친일파 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현실 속에서 염석진은 법정에서 처형되며, 미완의 정의라는 여운을 남기고 막을 내립니다.
2. 등장인물과 역사적 배경
① 안옥윤 — 여성 독립군의 상징
안옥윤(전지현)은 실존 인물은 아니지만, 남성 복장으로 의열단 활동을 했던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캐릭터입니다. 냉철하고 강단 있는 모습으로, 이름 없이 싸운 수많은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용기를 상징합니다.
② 염석진 — 배신과 생존의 초상
염석진(이정재)은 임시정부 요원이지만 일본군의 밀정으로 살아가는 인물입니다. 그의 내면은 신념과 생존 사이의 갈등으로 흔들리며, 해방 후 청산되지 못한 친일 세력의 문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③ 하와이 피스톨 — 양심을 깨운 청부업자
하와이 피스톨(하정우)은 돈을 좇던 청부업자였지만, 독립운동가들의 신념에 감화되어 결국 조선의 편에 서는 인물입니다. 민중의 양심, 자유주의적 인간상을 상징하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④ 강인국 — 친일의 얼굴
강인국(이경영)은 일제에 협력하며 부를 쌓은 전형적인 친일파입니다. 현실 속 여러 친일 인사의 모습을 합쳐 만들어진 인물로, 권력 앞에 굴복한 지식인과 자본가의 초상을 비판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⑤ 황덕삼 / 속사포 — 무장투쟁의 동료들
황덕삼(조진웅)과 속사포(최덕문)는 실제 의열단·한인애국단의 무장투쟁을 모티프로 한 인물들로, 암살 작전의 기술적 중심을 담당합니다.
3. 감상 포인트 — 역사와 영화의 경계에서
① 시대 고증의 정밀함
1930년대 경성 거리, 전차, 일본 헌병대 본부, 간판 하나까지 당시 사진과 자료를 토대로 고증되어 있습니다. 관객은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그 시대를 ‘체험하는 듯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② 여성 독립운동의 재조명
안옥윤은 남성 중심의 독립운동 서사 속에서 배제되었던 여성 투사들의 존재를 복원하는 상징적인 인물입니다. 그녀의 냉철함과 신념은 시대의 한계를 넘어선 용기의 표상입니다.
③ 내부 배신과 밀정의 문제
염석진은 단순한 악역이 아니라, 현실의 두려움과 이익 앞에서 흔들리는 인간의 초상을 보여줍니다. 그의 존재는 ‘우리 안의 배신’을 돌아보게 하며, 정의와 양심의 경계를 묻습니다.
④ 상징적 대사와 여운
“기억하자, 1933년 5월 26일.” 이 대사는 암살의 성공보다 중요한, 신념과 저항의 기억을 관객의 마음에 남깁니다.
⑤ 영상미와 연출의 완성도
최동훈 감독은 세트와 조명, 카메라 워크를 통해 1930년대 경성과 상하이를 생생하게 재현했습니다. 총격 장면은 폭력의 미화가 아니라, 저항의 미학으로 승화되며 긴장감을 극대화합니다.
4. 영화의 의미와 사회적 메시지
《암살》은 스펙터클한 블록버스터이면서도 역사적 메시지를 잃지 않은 작품입니다. 영화는 “누가 조국을 위해 싸웠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시대의 비극 속에서도 정의와 신념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여성 독립군, 민중의 연대, 내부 배신, 그리고 용서의 주제를 아우르며 《암살》은 지금 이 시대에도 유효한 윤리적 성찰을 전합니다. 정의는 시간이 흘러도 같은 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남깁니다.
결론 — 기억하자, 1933년의 총성
《암살》은 오락성과 예술성, 그리고 역사 인식을 모두 갖춘 드문 작품입니다. 영화 속 인물들은 허구지만, 그들이 싸운 이유는 현실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기억과 정의를 이어가는 대중 예술의 힘을 증명합니다.
2025년 지금 이 영화를 다시 본다면, 그 총성과 침묵 속에서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의 용기를 떠올리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묻게 됩니다.
“우리는 지금 어떤 선택을 하고 있는가?”
《암살》은 그 질문을 남기며, 시대를 넘어 기억해야 할 한국 영화로 남습니다.
💭 마무리 한 줄
《암살》 — 기억하자, 1933년의 총성.